지시적 상담 (2)~상담 (2).hwp 파일정보
지시적 상담 자료설명
지시적 상담 – 2~ 상담 – 2025 자료의 목차
2) 상담의 과정
(1) 분석
(2) 종합
(3) 진단
(4) 예후
(5) 상담
(6) 추수지도
3) 상담의 기법
4) 상담의 기술
5) 공헌점
6) 제한점
참고문헌
지시적 상담
지시적 상담은 월리암슨(E. G. Williamson)에 의해 제시된 이론으로 흔히 특성 요인상담, 임상적 상담, 상담자 중심상담 등의 여러 가지 용어로 호칭되고 있다. 지시적 상담은 교육 및 직업상담을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담을 받는 사람들의 특성을 직업적 또는 교육적 부적응으로 생각한다. 또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관계는 교사와 학습자와의 관계와 같으며, 이는 고도로 인격화된 교수와 학습과정이다. 상담자의 역할은 내담자에게 좀 더 적합한 행동으로 대치하도록 가르치거나 도와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담이란 상담자가 내담자의 교육적 또는 직업적 적응행동을 도와주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본문내용 (지시적 상담 (2)~상담 (2).hwp)
(1) 내담자가 자신의 동기, 능력, 적성, 성격, 흥미 등의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도록 한다. 이는 자신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2) 자신의 특성과 직업 등을 검토하여 만족스러운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3) 내담자가 자신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를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4) 내담자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강봉규, 1999).
2) 상담의 과정
월리암슨(E. G. Williamson)은 상담과정을 6단계로 제시하고 있으며 상담자는 상담을 진행할 때 아래 제시한 단계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Williamson, 1950, 1980)고 보았다.
(1) 분석(analysis)
내담자에 관한 정보와 자료수집으로 이루어진다. 내담자의 적성, 흥미, 동기, 신체건강, 정서적인 면 등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분석을 위한 도구로는 누가기록, 면접, 시간 할당표, 자서전, 일
💾 다운받기 (클릭)
⭐ ⭐ ⭐